금 ETF vs KRX 금현물시장, 어디가 더 유리할까?
1️⃣ 금 투자, 방법은 두 가지
요즘 같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. 하지만 금을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.
- ① KRX 금현물시장: 한국거래소를 통해 실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실물 기반 거래
- ② 금 ETF: 금 가격을 추종하는 펀드 상품으로, 주식처럼 매매 가능
두 방식 모두 ‘금값 상승의 이익’을 추구하지만, 세금·비용·유동성 측면에서는 차이가 큽니다.
2️⃣ KRX 금현물시장 vs 금 ETF 비교표
| 구분 | KRX 금현물시장 | 금 ETF |
|---|---|---|
| 거래 단위 | 1g 단위 (실물 인출 가능) | 1주 단위 (실물 인출 불가) |
| 부가세 | 면제 | 과세 대상 아님 (금융상품) |
| 세금 | 양도차익 발생 시 과세 (22%) | 매매차익 15.4% 원천징수, 종합과세 제외 |
| 보관 | 한국예탁결제원 안전보관 | 펀드 운용사 관리 (현물 보유/선물 추종) |
| 유동성 | 거래시간 제한 (09~15시30분) | 주식시장 시간에 매매 가능 |
| 수수료 | 거래수수료 약 0.3% | 운용보수 연 0.5% 내외 |
3️⃣ 어떤 투자자에게 유리할까?
✅ KRX 금현물시장 유리한 경우
- 실제 금을 인출하거나 보관하고 싶은 사람
- 부가세 없이 실물 금 보유를 원할 때
- 단기보다는 중·장기 보유 목적의 투자자
✅ 금 ETF 유리한 경우
- 주식처럼 간편하게 금 투자를 하고 싶은 사람
- 현물 보관이 번거롭거나 유동성이 중요한 투자자
- 세금 신고 간소화와 종합과세 제외 혜택을 원할 때
🔍 정부지원금 찾기 & 재무체크 바로가기
* 금 투자는 세금·보관·유동성까지 함께 고려하세요.
4️⃣ 결론: 목적이 다르다
금 ETF는 거래 편의성과 세금 단순함이 장점이며, KRX 금현물시장은 실물 자산으로서의 안정성과 부가세 면제 혜택이 강점입니다.
결국 투자 목적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.
- 💰 수익 중심 → 금 ETF
- 🔒 보유 중심 → KRX 금현물시장
※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실제 세법 및 수수료는 시점과 증권사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투자 전 반드시 상품설명서와 세금 조건을 확인하세요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