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딤돌·보금자리론 대출 한도 계산 방법 (2025년 최신 ver.)
디딤돌·보금자리론 대출 한도 계산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지만, 정확히 이해하려면 LTV(집값), 소득 기반 DSR, 상품 최대 한도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두 상품의 대출 한도를 실제로 어떻게 계산하는지 가장 쉽게 설명합니다.
1. 디딤돌·보금자리론 대출 한도는 어떻게 결정될까?
두 상품 모두 다음 3가지 기준이 가장 중요합니다.
- ① LTV(집값 기준 한도) — 주택 가격의 몇 %까지 대출 가능한가
- ② 소득 기반 한도(DSR·DTI) — 소득 대비 상환 가능한 원리금 기준
- ③ 상품 최대 한도 — 제도상으로 넘길 수 없는 상한
핵심 정리: 실제 대출 한도 = LTV vs 소득기반 vs 상품상한 중 가장 작은 값
2. 디딤돌 대출 한도 계산 방법
2-1. 집값 기준(LTV) 계산
디딤돌의 LTV는 대체로 70%입니다.
- 예: 집값 3억 × 70% → 2억 1천만 원
2-2. 소득 기반(DSR) 계산
연소득 6,000만 원 → 월 소득 500만 원 기준
- 월 상환 가능액 약 150~200만 원
- 30년 기준 대출 가능액 약 1.5억~2억
집값 기준 한도가 2.1억이어도 소득 한도가 1.8억이라면 최종 대출 한도는 1.8억입니다.
2-3. 디딤돌 정책 최대 한도
- 기본 최대 2.5억
- 신혼·다자녀 우대 → 최대 3.1억
3. 보금자리론 대출 한도 계산 방법
3-1. LTV 기준 (70%~80%)
- 기본 LTV 70%
- 우대 적용 시 최대 80% 가능
예: 4억 × 70% = 2.8억
3-2. 소득 기반(DSR) 계산
- 연소득 5,000만 원 → 월 상환 가능액 약 166만 원
- 40년 상환 시 실제 한도는 약 2억 후반
3-3. 보금자리론 최대 한도
- 단독 신청: 최대 3.6억
- 부부합산: 최대 5억
4.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할까?
- 금리가 가장 중요 → 디딤돌 대출
- 대출 한도가 더 중요 → 보금자리론
- 소득이 적다면 → 보금자리론이 유리할 가능성↑
- 월 상환액 줄이고 싶다면 → 보금자리론 40년 선택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