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, 이렇게 달라진다
복지정책 인사이트 🌿
![]() |
|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, 이렇게 달라진다 |
중위소득 상향,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, 재산·자동차 기준 완화 등 2026년부터 적용될 주요 변화와 수급 확대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1️⃣ 기준중위소득 상향 조정
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1인 가구 약 256만 원으로, 2025년 대비 약 4% 이상 인상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생계·주거·의료급여의 수급 기준도 순차적으로 상향됩니다.
- 1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: 중위소득 32% → 35% 상향 검토
- 주거급여 기준: 중위소득 47% → 50% 상향 예정
- 의료급여 기준: 중위소득 40% 내외로 완화 가능성
💡 Tip: 소득·근로 활동이 있어도 일정 수준 이하라면 수급 가능성이 커집니다.
2️⃣ 재산·자동차 기준 완화
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재산 기준과 자동차 보유 기준이 완화될 예정입니다. 생업용 차량·소형 차량은 재산 환산에서 제외되는 방향으로 검토 중입니다.
- 생업용 자동차는 재산 산정에서 제외 검토
- 승용차 기준: 1,600cc → 2,000cc 미만으로 완화 논의
- 전세·보증금 환산율 일부 하향 가능성
3️⃣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2026년부터 의료급여·생계급여 일부에서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 또는 완화될 예정입니다. 가족의 소득·재산 때문에 수급에서 제외되던 사례가 줄어듭니다.
-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단계적 확대(의료급여 중심)
- 가족 부양여부보다 실제 소득·생활 형편 중심 심사
4️⃣ 급여 수준 및 지원 항목 확대
생계·주거·의료급여 외에도 돌봄·복지·자립지원 항목이 확대됩니다. 노인·장애인·한부모 등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지원이 강화됩니다.
- 주거급여 상한액 인상 및 전세보증금 지원 확대
- 의료급여 본인부담률 완화, 긴급복지 확대
- 재가돌봄·자활근로·디지털복지 서비스 신규 편성
5️⃣ 신청 시 유의사항
- 신청 창구: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
- 필요서류: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, 통장사본, 임대차계약서 등
- 변동사항 발생 시 즉시 신고(소득, 재산, 가족 구성 등)
✅ 요약: 2026년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완화 원년이 될 전망입니다. 소득·재산 완화로 더 많은 국민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※ 본 글은 2025년 말 기준 정부 정책 발표 및 계획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실제 적용 내용은 2026년 고시·지자체 공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